본문 바로가기

해와달 교정치료/교정장치

[울산교정추천] 교정치료란?


시술방법

 

1) 교정 진단
초진(설문지 작성, 문진 등), 기본적인 X선 촬영, 치아 모형, 얼굴 사진, 구강 내 사진 등의 자료를 이용하여 환자가 가진 문제점을 분석, 개개인에 적합한 치료 계획을 확립한다.

2) 교정 치료
고정식 교정 장치, 가철식 교정 장치, 구외 장치 등을 이용하여 치아의 이동 및 턱뼈의 성장을 조절한다.

맨위로소요시간치열 교정만 하는 경우는 보통 18~30개월 소요

부정교합의 형태와 특성, 개인차에 따라 다양하다.
- 치열 교정만 하는 경우: 보통 18~30개월 걸린다.
- 골격적 문제를 동반한 경우: 1차 성장 발육 조절 치료 후 2차 치열 교정을 시행하므로 치료 기간이 연장된다.
- 수술을 동반한 경우: 수술 전, 치료 후, 수술 후 마무리 치료 포함하여 18~30개월이 걸린다.

 

 

 

 

교정 치료
 맨위로주의사항충치 및 잇몸 질환 발생 위험성, 교정 장치 변형

1) 복잡한 교정 장치로 인해 충치 및 잇몸 질환 발생 위험성이 크므로 세심하게 칫솔질을 해야 한다.
2) 단단한 음식, 질기거나 끈적거리는 음식은 교정 장치 변형의 원인이 되므로 피한다.     
3) 치아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고무줄 또는 장치의 착용 및 내원 일정 준수에 대한 환자의 협조가 필요하다.
맨위로통증교정 장치 장착 후 약 일주일 정도의 적응 기간이 필요하다. 처음에는 입술이나 뺨 안쪽에 불편감을 느끼게 된다. 평균적으로 1개월에 1번 정도 내원하여 치료 후, 1~3일 정도 아픔을 느낄 수 있으며 드물게는 진통제를 복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불편함을 느끼는 정도이다.

맨위로경과치료가 끝나면 교정 장치를 모두 떼어내고 유지 장치(보정 장치)를 끼게 된다. 소아나 성인 모두 유지장치를 끼는 것이 원칙이며 치아 내 와이어를 부착한 유지 장치는 평생 장착하게 된다. 가철식 유지장치도 가능한 수면 중에 장착할 것을 추천한다. 교정 치료 후 치아 배열을 안정시키고 남은 성장 기간 동안 치료한 결과를 잘 유지시키기 위해 일정 기간 유지 장치를 착용해야 한다. 정기적으로 내원하여 치열의 유지 상태, 안면 골격 성장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맨위로부작용·후유증치아 표면의 탈회(치아의 칼슘염 상실로 치아의 법랑질이 약해짐), 잇몸의 염증, 잇몸의 퇴축, 치근의 흡수, 턱관절 장애, 재발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나 모든 교정 치료 시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치료 중 주의 사항을 잘 지킨다면 대부분 예방할 수 있으며 설령 발생하는 경우라도 경미한 수준에 그칠 수 있다.
맨위로생활가이드식사나 간식 후 즉시 양치할 것을 권장한다. 교정용 칫솔, 치간 칫솔 등을 이용하여 거울을 보며 꼼꼼히 충분한 시간 동안 칫솔질 해야 한다.

 

맨위로식이요법색깔 있는 음식과 교정 치료와는 상관이 없으나 교정 장치 중 공간 패쇄를 위해 사용하는 고무밴드는 카레 등의 음식에 노랗게 변색되어 심미적으로 좋지 않아 삼가라고 권유하기도 한다. 얼음, 아이스바, 쥐포나 마른 오징어와 같은 건어물류 등 단단하거나 질긴 음식은 치아와 턱관절에 무리한 힘을 가해 교정 장치를 변형시킬 위험이 있으므로 삼간다. 캐러멜, 껌, 엿 등 끈적거리는 음식은 교정 장치에 달라붙어 떨어지지 않거나 장치를 탈락시킬 수 있으므로 먹지 않는다. 사과, 깍두기 등의 덩어리 음식은 가급적 잘게 잘라먹으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