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와달 교정치료/예방교정

[울산치아교정]교정/ 교정치료 받기에 가장 적절한 때는?[울산치아교정]

 



교정치료를 받기에 가장 적절한 때는?

D씨의 딸은 이제 초등학교 3학년이다. 할머니를 닮아 유치부터 어긋나게 나더니 영구치도 비뚤비뚤하게 나기 시작해 걱정이 이만 저만이 아니다. 딸도 거울을 볼 때마다 어긋난 자신의 치아가 불만인지 벌써부터 저금통에 교정을 위한 돈을 모으고 있다. D는 용돈을 아껴 저금을 하는 딸아이가 기특한 반면 언제부터 교정치료를 받아야 할 지 고민이다.

우리나라 사람의 70~80% 정도가 부정교합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는 사람은 그리 많이 없다. 보통 치아가 어긋나게 나거나 비뚤게 나는 것을 부정교합 한다. 이는 심미안적 면은 물론 치아의 기능적인 면에도 문제가 있어 많은 사람들이 교정치료를 원하고 있다. 부정교합은 발음 장애나 저작기능의 이상, 그리고 심리적 발달 장애 등

그럼 어느 시기에 치아 교정치료를 받으면 좋을까?

치아 교정은 인위적으로 단시간에 진행되지 않는다. 세포대사를 이용한 생물학적 치료이기 때문에 시간도 오래 걸린다. 이미 성장이 멈춘 성인의 경우는 한창 성장 진행 중의 청소년보다 많게는 2배 이상의 시간적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치아 교정은 성장이 활발히 일어나는 청소년 시기에 해주는 것이 좋다.

요즘 아이들은 서구적 식습관에 의해 성장이 빨리 온다. 과거에는 중학교에 들어가 사춘기가 시작될 무렵이 교정치료를 받기에 적정한 때라고 했지만 요즘은 초등학교 고학년들도 교정치료를 많이 받는다. 아무래도 사춘기가 시작되기 전에 가지런한 치아를 이루는 것이 심리적인 안정에도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교정의 원리는 외과적 시술이 아니라 치아에 지속적인 힘을 가하여 힘을 받는 쪽 뼈세포들이 뼈 조직을 녹여 움직이게 하고 반대쪽에는 뼈 조직들이 새로 생성되어 움직이는 치아를 받게끔 한다. 세포의 활성화를 이용한 원리이기 때문에 교정치료에 의한 부작용은 거의 없다.

덧니로 난 송곳니의 경우 송곳니를 발치하여 빈 곳을 메우는 방법으로 교정치료가 이뤄지기 등 환자의 치아 상태에 따라 치료의 방법도 다양하고 교정치료 시 사용되는 교정기의 종류도 다양하다. 따라서  개개인에 맞는 치료법을 잘 선택하는 것도 중요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