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칫솔질에 대해 얼만큼 알고 계세요?
하루에 아침, 점심, 저녁 꼬박 꼬박 이를 닦는 이미정(28 여)씨는 치아 건강만큼은 자신이 있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양치를 할 때 마다 잇몸에서 피가 나는 것을 보고 치과를 찾았다. 그녀의 치아는 치경부 마모증이란 생전 처음 들어보는 질환을 갖고 있었다.
치경부 마모증이란 외부 자극으로 치아가 닳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되면 이가 자주 시리게 되고 심하면 잇몸에서 출혈이 일어나기도 한다.
그렇다면 왜 이가 시리고 피가 나는 것인가? 그 이유부터 알아보도록 하자
치아를 둘러싸고 있는 조직 중 가장 단단한 것은 바깥에 있는 법랑질이다. 이 법랑질이 있기 때문에 무엇인가를 씹을 때 통증을 느끼지 않는 것이다. 법랑질은 씹는 면 방향으로는 두껍지만 치아의 옆면은 얇다. 뿌리 쪽으로 내려갈수록 법랑질은 얇아지거나 아예 없어지고 상대적으로 치아 표면과 신경의 거리는 가까워진다.
이가 시리다는 느낌은 온도, 촉감 등의 자극이 신경에 전달되었을 때 나타나는 증상으로 결국 치주 질환이나 기타 이유로 잇몸이 짧아져서 이의 뿌리가 드러났을 때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가 시린 증상을 호소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의 경우 대부분 남들 이상으로 철저하게 칫솔질을 시행하는 이들이라서 잇몸이 건강한 경우가 많다. 하지만 잘못된 칫솔질 습관이 오히려 잇몸과 이를 마모시켜서 시린 증상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건강한 치아를 위해서는 칫솔질이 중요하다. 그렇다면 올바른 칫솔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첫 번째로 횡마법이다.
횡마법은 치아가 난 방향과 수직으로 교차 시키는 방법이다. 치경부의 자극이 심하기 때문에 피해야 할 칫솔질 방법이기도 하다. 횡마법은 가장 원초적인 방법이기도 하다. 아마 처음 칫솔질을 하려는 사람에게 칫솔을 쥐어주고 마음대로 닦으라고 하면 위와 같은 방식으로 좌우로 왔다갔다 하면서 닦을 것이다.
이 방법의 장점은 비교적 치태 제거가 용이하다는 것에 있다. 단점은 팔의 힘이 그대로 치아에 전달되고 더욱이 치아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강도가 떨어지는 옆면에 강한 마찰이 이뤄지기 때문에 치아의 마모가 빨리 진행된다는 데 있다.
두 번째로는 폰즈법이다.
폰즈법은 크게 원을 그리 듯이 칫솔질 한다. 치태 제거가 어려운 편이지만 치아 손상이 적고 회전법으로 변형이 쉽기 때문에 어린이에게 권하는 방법이다. 이 방식은 횡마법의 단점을 보완한 방식으로 칫솔을 크게 타원을 그리면서 닦아주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폰즈법의 장점은 비교적 배우기가 쉽고 치아의 마모가 적다는 데 있다. 단점으로는 상대적으로 치태 제거가 잘 되지 않는 편이고 혀가 있는 이의 안 쪽까지 깨끗하게 닦기 어렵다는 데 있다.
이 방법은 주로 어린이에게 추천되는데 횡마법에 비해 치아 파괴가 덜하고 회전법 보다 실천이 용이하면서 나중에 회전법으로 바꿀 때 손의 동작이 많이 틀리지 않아 적응을 돕는데 의미가 있다.
주의할 점은 어금니 쪽을 닦을 때 자신은 폰즈법의 움직임을 하고 있다고 믿고 있지만 볼의 저항 때문에 실제로는 횡마법의 움직임으로 칫솔이 움직이는 경우가 많으므로 거울을 보고 확인하면서 닦는 것이 좋다.
그리고 세 번째는 회전법이다.
회전법은 치아를 자라는 방향으로 쓸어 내리듯이 닦아준다. 치태 제거가 용이하고 치아 손상이 적어서 성인에게 권하는 방법이다.
이 방식은 잇몸에서 시작해서 치아의 끝까지 쓸어 내리는 방식이다. 한 치아당 10회씩 쓸어 내리고 다음 치아로 움직이고 하는 방식으로 이 바깥쪽과 안쪽을 번갈아 전부 이 방식으로 닦으면 된다.
앞니 뒷면은 칫솔을 세로로 세워서 앞에 있는 거울에 물을 튀긴다는 느낌으로 닦으면 편할 것이다. 현재 예방치과 학회에서 일반인에게 권장하는 방식의 칫솔질 법이다. 이 방법의 장점은 입안 구석 구석까지 칫솔질이 가능하고 치아의 손상이 적다는 점이다. 단점으로는 처음 적응이 어렵고 실천이 어렵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네 번째는 모디파이드 바스법(modified bass)이다.
모디파이드 바스법 치아와 잇몸 사이에 칫솔을 덴 상태에서 진동을 준 후 회전법으로 닦아준다. 가장 이상적인 칫솔질 법이지만 시행이 어렵고 잘못 시행하면 잇몸을 망가뜨릴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자문 하에 시행하는 편이 좋다.
바스법이란 치아와 잇몸 사이에 칫솔을 집어넣고 진동을 주는 방식을 의미한다. 중요한 것은 칫솔을 흔드는 것이 아니라 칫솔모는 가만히 두고 진동만 안쪽으로 전달한다는 것이다. 만약에 그 부분에 칫솔을 집어넣고 힘을 줘서 흔들었다가는 몇 달 안에 잇몸이 망가질 것이다.
또 바스법은 주로 잇몸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사용하는 방식인데 바스법과 회전법을 결합한 것이 모디파이드 바스법이다. 회전법의 회전을 넣기 전에 먼저 치아와 잇몸 사이에 칫솔모를 집어넣고 진동을 주는 방식이다.
정확하게 시행하기만 하면 현재까지 나온 모든 칫솔질 법 중에서 구강병 예방에 가장 탁월한 효능을 보이는 방식이지만 그 시행이 매우 어렵고 잘못하면 잇몸에 파괴적일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좀처럼 권하지 않는 방식이라고 한다.
'해와달 교정치료 > 예방교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울산치아교정/울산주걱턱교정] 치아교정 정보 - 치아교정 어릴때 받아야 하는 이유 (0) | 2011.01.12 |
---|---|
[울산교정/울산덧니교정] 치아교정 정보 - 교정 병원 선택 지침서 (0) | 2011.01.12 |
[울산치아교정/울산교정/울산치과] 직장이니 치아관리 (0) | 2010.12.10 |
[울산치아교정]교정/ 교정치료 받기에 가장 적절한 때는?[울산치아교정] (0) | 2010.12.01 |
[치아교정]울산치과/울산교정/교정잘하는곳/ (0) | 2010.11.26 |